장례정보

예를 아는 만큼
추모도 깊어집니다.

제수진설법

우리나라 제사상 차림의 형태는 지방, 가운마다 각기 달라 가가례라 할 만큼 다양합니다.
따라서 가운 및 지역마다 실제 상차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율곡 격몽요결제도를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

  1. 1제사 상차림의 기준 위치

    제사 상차림의 기준 위치는 지방(신위)이 있는 쪽이 북쪽이다.
    신위의 오른쪽은 동쪽, 신위의 왼쪽은 서쪽이다.

  2. 2합설(合設)

    조상의 제사는 배우자가 있을 경우 함께 모신다.
    밥, 국, 술잔은 따로 놓고 나머지 제수는 공통으로 한다.

  3. 3남좌여우(男左女右)

    남자조상의 신위(지방), 밥, 국, 술잔은 왼쪽에 놓고
    여자조상은 오른쪽에 놓는다.

  4. 4반서갱동(飯西葉東)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위치한다.
    즉, 산 사람의 상 차림과 반대이다. 수저는 중앙에 놓는다.

  5. 5어동육서(魚東肉西)

    고기는 서쪽(왼쪽)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6. 6두동미서(頭東尾西)

    꼬리는 서쪽(왼쪽) 머리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7. 7적전중앙(敵前中央)

    적은 옛날에는 술을 올릴 때마다 즉석에서 구워 올리던 제수의 중심 음식이었으나
    지금은 다른 제수와 마찬가지로 미리 구워 제상의 한가운데 놓는다.

  8. 8탕은 3열에 위치한다.

    신위를 기준으로 1일은 밥과 국, 2열은 적과 전,
    3열은 탕, 4일은 포와 나물. 5열은 과일 및 과자류 순으로 놓는다.

  9. 9좌포우혜(左脯右醯)

    포는 서쪽(왼쪽) 식혜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10. 10생동숙서(生東熟西)

    나물은 서쪽(왼쪽) 김치는 동쪽(오른쪽)에 위치한다

  11. 11조율이시(棗栗梨枾)

    보통 진열의 왼쪽에서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놓고 있다.

  12. 12홍동백서 (紅東白西)

    예서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고 있다.


상조후기
궁금한 점을 물어보세요.

[20만 고객들의 선택] 다이렉트 상조 서비스!
상담만 받아도 즉시 할인 + 위로금 지원

온유 대표 상담번호

1670-5656

사이트 정보

  • (주)용인공원라이프
  • 대표자 김현호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편로20번길 9, 4층(관양동, 스마트넷빌딩)
  • 전화 : 1670-5656
  • 팩스 : 070-4763-3610
  • 사업자 220-88-04156
  • 통신판매업신고 제2020-안양동안-1812호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경영지원팀

ⓒ 2024 YONGINPARKLIF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