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정보

예를 아는 만큼
추모도 깊어집니다.

조문예절

1조문 순서

  1. 1조문록 서명
  2. 2분향과 헌화
  3. 3재배 혹은 묵념
  4. 4조문
  5. 5부의금 전달

2조문 복장

  • 검은색 정장이 기본이나, 없을 때는 무채색 계열의 어두운 옷도 괜찮습니다.
  • 외투나 모자는 장례식장 들어가기 전 벗는 것이 예의입니다.
  • 지나치게 화려한 액세사리(시계,귀걸이, 목걸이)는 착용을 삼가합니다.
  • 어두운 색의 양말, 넥타이, 스타킹이 없을 경우 장례식장에서 구입이 가능하니 당황하지 않아도 됩니다.

3부의금 봉투

  • 봉투 앞면 중앙에 추모의 의미를 담은 한자어를 적는다. 보통 부의(賻儀)를 가장 많이 쓴다.
  • 봉투 뒷면 왼쪽 하단에 세로로 이름을 적는다. 소속은 이름의 오른쪽 위쪽에 적는다.
  • 부의금은 홀수단위(3, 5, 10, 15....)로 내여 새 돈이 아닌 헌돈을 내는 것이 좋다.

4조객록 서명

  • 장례식장에 도착하면 먼저 조객록에 서명한다
  • 부의금은 문상이 끝난 후 내는 것이 기본이지만, 요즘은 조객록 서명 시 함께 내기도 하니 주변 분위기에 맞추면 된다.
  • 상가의 종교나 집안 문화에 따라 문상법의 차이가 있으니 주의할 점이 있는지 물어보는 것이 좋다.
    특별히 없을 경우, 본인 종교에 맞는 예법에 따른다.

5재배 또는 묵념

  • 분향 혹은 헌화 후, 일어나 두 번 절을 한다.
    종교적 이유로 절하는 것이 어려우면, 묵념/기도를 올려도 무방하다.
  • 절을 두 번 올리는 것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한 번 : 천신에게 잘 받아달라는 의미
    • 두 번 : 지신에게 잘 떠나게 해달라는 의미

6조문

  • 영좌에서 물러나와 상주와 맞절한다. 종교적 이유로 절을 못한다면 정중히 목례만 해도 좋다.
  • 절을 한 후에 간단한 인사말을 건네도 좋지만, 기본적으로 아무말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 문상이 끝난 후에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다.
    • 상주와 하는 맞절의 의미 : 상주의 조상들에게 상주를 잘 보살펴 달라는 의미

7주의사항

  • 상주,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을 삼가고, 인사는 목례로 대신한다.
  • 반가운 지인을 만나더라도 큰 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
  • 유가족에게 계속 말을 시키거나, 고인의 사망 원인을 상세히 묻는 것은 실례다.
  • 장례식장에서 술을 마실 때는 본인이 본인 잔을 채워서 마시는 것이 좋고, 건배도 해서는 안된다.

상조후기
궁금한 점을 물어보세요.

[20만 고객들의 선택] 다이렉트 상조 서비스!
상담만 받아도 즉시 할인 + 위로금 지원

온유 대표 상담번호

1670-5656

사이트 정보

  • (주)용인공원라이프
  • 대표자 김현호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편로20번길 9, 4층(관양동, 스마트넷빌딩)
  • 전화 : 1670-5656
  • 팩스 : 070-4763-3610
  • 사업자 220-88-04156
  • 통신판매업신고 제2020-안양동안-1812호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경영지원팀

ⓒ 2024 YONGINPARKLIFE All Rights Reserved